- 파일의 종류
1. 일반 파일
2. 디렉토리 파일
3. 링크 파일
4. 장치 파일
5. 소켓 파일
6. 도어 파일
7. 파이프 파일
- 리눅스에서는 모든 것을 파일로 다룸
- ls -l 명령어로 파일의 종류가 어떤 것인지 확인 가능
- 명령어 정리
1. ls, pwd, mkdir, cd, mv
2. cat, more, cp, rm, head, tail
3. grep, find
- 심볼릭 링크
1. 하드링크 : ln 파일1 파일2
2. 심볼릭링크 : ln -s 파일1 파일2
- 텍스트 파일과 바이너리 파일은 모두 일반파일
텍스트 파일은 사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문자로 구성돼 있고,
이미지 파일이나 실행파일은 바이너리로 저장 돼 있어서 사용자가 읽을 수 없는 형태로 돼 있다.
- 소켓 파일은 네트워크의 입출력을 담당한다.
두 호스트 컴퓨터 사이의 정보를 전달에 필요한 파일이며,
물리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송수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장치
- 소켓 파일 실행 과정
1. 소켓 생성
2. ip 주소와 포트 번호 할당
3. 연결 요청 가능한 상태로 설정
4. 연결 요청에 대한 수락
- 파일 색깔
1. 일반파일 : 하얀색
2. 디렉토리 파일 : 파란색
3. 링크 파일 : 하늘색
4. 실행 파일 : 초록색
5. 압축 파일 : 빨간색
- 아이노드의 개수 (파일의 최대 갯수)는 설정 가능
- 아이노드란 커널 내에서 파일 시스템과 관련한 자료구조 중 하나이다.
- 아이노드는 해당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짐
- 파일의 소유권 및 권한 여부에 대한 정보, 디스크 내의 물리적 주소,
파일의 링크 수, 형태, 크기, 만들어진 시간 등을 저장
'Operating System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virtual box 에 ubuntu 데스크탑 이미지 설치하기 (2/3) (0) | 2021.08.15 |
---|---|
[linux] virtual box 설치하기 (1/3) (0) | 2021.08.14 |
[linux] 도커에서 우분투 이미지 설치 후 실행 (0) | 2021.08.01 |
[linux] 리눅스 apt-get, yum, 패키지관리 (0) | 2021.07.25 |
[linux]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0) | 2021.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