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의 폴더와 버츄어박스의 폴더를 연동하고싶다.
버츄어박스를 켜서 설정을 클릭한다.
설정에서 공유폴더를 클릭한다
오른쪽 폴더 모양을 클릭한다
폴더 경로를 눌러서 기타를 누른다
내가 가상환경과 연동하고싶은 폴더를 클릭한다
자동마운트를 체크하고
가상환경의 어느 경로와 연동할 것인지 선택한다.
확인을 누르면 잘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따
다시 확인을 누르고 가상환경을 실행시킨다.
실행한 가상환경에서 터미널을 열고
내가 마운트시킨 위치로 이동한다
cd /root
ls
pwd
로컬의 폴더와 가상환경을 같이 열고
가상환경에서 touch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을 하나 만들어보자
touch test.txt
가상환경에서의 /root 디렉토리가 로컬의 shareFile 폴더와 공유폴더가 설정돼
연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는 로컬에서 파일을 삭제해보자
파일을 삭제하고 가상환경에서 파일 목록을 확인해보자
ls
pwd
로컬의 공유폴더도 같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perating System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우분투에 nginx 설치하기 (ubuntu, nginx) (0) | 2021.10.08 |
---|---|
[linux] 1분마다 시간 로그 남기기 (ubuntu, crontab, python) (0) | 2021.10.08 |
[linux] 우분투에서 python은 안되고 python3만 될 때 (ubuntu, python, python3) (0) | 2021.10.06 |
[linux] 크론탭에서 /dev/null의 의미 (ubuntu, crontab, /dev/null, 2>&1) (0) | 2021.10.06 |
[linux] 우분투 크론탭으로 디스크 사용량 로그로 남기기 (ubuntu, crontab, python, disk) (0) | 202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