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xample 이라는 함수명을 가진 함수를 만들고 함수를 호출할 때 "안녕하세요"가 호출되도록 만들고 호출해보기 def example(): print("안녕하세요") example() 2. example 함수를 열번 호출해보기 example() example() example() example() example() example() example() example() example() example() 3. example 이라는 함수이름으로 변수 두개를 받아서 더해주는 값을 return 해주는 함수를 만들고 2, 3을 매개변수로 호출해보기 def example(a, b): return a+b example(2, 3) 4. example 함수 이름으로 변수 두개를 받아서 곱해주는 값을 print하는 ..
1. 1.0, 1.1, 1.2, 1.3 을 변수 my_tuple 에 튜플로 넣고 출력해보기 my_tuple = (1.0, 1.1, 1.2, 1.3) print(my_tuple) 2. my_tuple의 세번째 데이터를 출력해보기 print(my_tuple[2]) 3. my_tuple의 타입을 확인해보고 my_tuple의 마지막 데이터의 타입을 확인해보기 print(my_tuple, type(my_tuple)) print(my_tuple[-1], type(my_tuple[-1]) 4. my_tuple의 길이를 출력해보기 print(my_tuple, len(my_tuple)) 5. for문을 활용하여 my_tuple의 데이터를 하나씩 출력해보기 for i in my_tuple: print(i) 6. my_tu..
1. a,b,c,d 를 갖는 my_tuple 변수를 생성하고 출력해보기 my_tuple = ('a', 'b', 'c', 'd') print(my_tuple) 2. my_tuple 의 두번째 데이터 출력해보기 print(my_tuple[1]) 3. 'park' 이라는 데이터를 test라는 변수에 넣어 출력하고 타입 확인해보기 test = 'park' print(test, type(test)) 4. ('park') 이라는 데이터를 test라는 변수에 넣어 출력하고 타입 확인해보기 test = ('park') print(test, type(test)) 5. 'park' 이라는 데이터를 test라는 변수에 튜플로 넣어 출력하고 타입 확인해보기 test = ('park',) print(test, type(test..
1. result 라는 이름을 가진 인덱스 생성하기 curl -XPUT localhost:9200/result?pretty 2. 인덱스 전체 조회하기 curl -XGET localhost:9200/_cat/indices?v 3. result 인덱스 상세조회하기 curl -XGET localhost:9200/result?pretty 4. result 인덱스의 도큐먼트 조회하기 curl -XGET localhost:9200/result/_search?pretty 5. result 인덱스에 info 타입을 갖고 1번 id에 "name": "park" 이라는 도큐먼트 추가해보기 curl -XPOST localhost:9200/result/info/1?pretty -H 'Content-Type: applicati..
1. 실행 systemctl start elasticsearch 2. 실행 상태 확인하기 systemctl status elasticsearch 3. 중지하기 systemctl stop elasticsearch 4. 상태 확인하기 systemctl status elasticsearch
1. 버츄어박스에 우분투 이미지로 apt update 또는 엘라스틱서치 설치 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frontend 2. sudo killall apt apt-get 효과 없음 3. sudo rm -rf /var/lib/apt/lists/lock 효과 없음 4. sudo rm -rf /var/cache/apt/archives/lock 제거되는 파일이 있음 5. sudo rm -rf /var/lib/dpkg/lock* 제거되는 파일이 있음 6. sudo dpkg --configure -a 명령어 실행 후 7. sudo apt update 진행하고 원하는 프로그램 설치하면 정상실행
1. 버츄어박스 실행 2. 우분투 이미지 실행 로그인 3. 터미널 접속하기 우클릭 후 open terminal 클릭 su - 로 루트계정 접속 su - 4. 자바 설치 확인하기 java -version 5. elastic public GPG 키 추가 curl -fsSL https://artifacts.elastic.co/GPG-KEY-elasticsearch | sudo apt-key add - 6. 소스 리스트 추가 echo "deb https://artifacts.elastic.co/packages/7.x/apt stable main" | sudo tee -a /etc/apt/sources.list.d/elastic-7.x.list 7.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8. 엘라스틱 서치..
1. my_dict 라는 변수에 0:'a', 1:'b', 2:'c', 3'd', 4'e' 라는 딕셔너리를 만들고 출력해보기 my_dict = {0:'a', 1:'b', 2:'c', 3:'d', 4:'e'} print(my_dict) 2. if ~ in ~ 을 활용하여 my_dict 안에 2 라는 키가 있는지 확인해보기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 출력 if 2 in my_dict: print('true') else: print('false') 3. my_dict 안의 모든 키값 출력해보기 print(my_dict.keys()) 4. my_dict 안의 모든 벨류값 출력해보기 print(my_dict.values()) 5. if ~ in ~ 을 활용하여 my_dict 안에 5 라는 키가 있는지 확인해..
1. 로그스태시 - 실시간 파이프라인 기능을 가진 데이터 수집 엔진 - 오픈소스 - 다양한 플러그인 사용 가능 - input, filter, output으로 구성 2. input file input { file { path => "파일경로" start_position => "beginning" } } - file : 원본 데이터 소스를 파일로 지정 - path : 원본 파일의 파일 위치 경로를 입력 - start_position : 파일의 처음부터 데이터로 인식하도록 만듦 3. output elasticsearch output { elasticsearch { hosts => "localhost:9200" index => "test" } } - elasticsearch : 앤드포인트를 엘라스틱서치로 지정 ..
1. 엘라스틱서치 - 아파치 루씬 기반의 자바 오픈소스 분산 검색 엔진 - 많은 데이터를 준실시간으로 저장, 검색 분석 가능 - 오픈소스 - RESTfule API 기반 2. 로그스태시 - 실시간 파이프라인 기능을 가진 데이터 수집엔진 - 오픈소스 - 예를들어 파일, 데이터베이스, 카프카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음 3. 엘라스틱서치와 RDBMS의 비교 - 엘라스틱서치 : RDBMS - mapping : schema - index : database - type : table - document : row - field : column 4. 키바나 - 데이터를 시각화 및 스택을 관리하고 모니터링 가능 5. 엘라스틱서치 인덱스 -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 - RDBMS의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역할 6. 엘..
1. 네트워크 - 장비가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협력 가능 - 물리적, 논리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및 기기의 모음 - 두 대 이상의 컴퓨터들이 연결돼 서로 통신 및 공유 2. 네트워크 장점 - 연결된 장비의 다양한 종류의 작업 가능 - 파일 교환 및 프린트 공유 등 3. 네트워크 단점 - 해킹 및 악성코드 유입 - 정보보안 4. MAC주소 - 하드웨어 랜카드의 고유한 주소 - OSI 7Layer에서 두번째 레이어에 해당 - IP주소는 OSI 7Layer에서 세번째 레이어에 해당 5. MAC 주소 확인하는 법 - cmd 창에서 ipconfig /all 입력시 확인 가능 6. IPv4, IPv6 개수 - IPv4의 개수 : 2^32개 = 약 43억개 - IPv6의 개수 : 2^128개 7. 라우터 - 패킷의 목..
1. "a" : 1 을 갖는 딕셔너리를 만들고 출력해보기 my_dict = {'a':1} print(my_dict) 2. 'a':1, 'b':2 를 갖는 딕셔너리를 만들고 출력해보기 my_dict = {'a':1, 'b':2} print(my_dict) 3. 1:1, 2:2 를 갖는 딕셔너리를 만들고 출력해보자 my_dict = {1:1, 2:2} print(my_dict) 4. (1,1):1, (2,2):2 를 갖는 딕셔너리를 만들고 출력해보자 my_dict = {(1,1):1, (2,2):2} print(my_dict) 5. 1.1:1, 2.2:2 를 갖는 딕셔너리를 만들고 출력해보자 my_dict = {1.1:1, 2.2:2} print(my_dict) 6. True:1, False:2 를 갖는 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