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래 링크로 이동 https://www.virtualbox.org/ 2. 중앙에 다운로드 클릭 하면 다음 화면으로 이동 3. 본인의 운영체제에 맞는 다운로드 버튼 클릭 4. 다운로드가 뜨면 계속 클릭 5. 다운로드가 돼버렸다. 6. 다운로드된 파일 클릭 7. Next 클릭 8. Next 클릭 9. Next 클릭 10. Yes 클릭 11. Install 클릭 12. 설치 중 13. Finish 클릭으로 설치 완료~ 14. 초기화면까지 확인해버리기~ 우분투 이미지 설치는.. 다음 글에서 확인해볼까?
- 파일의 종류 1. 일반 파일 2. 디렉토리 파일 3. 링크 파일 4. 장치 파일 5. 소켓 파일 6. 도어 파일 7. 파이프 파일 - 리눅스에서는 모든 것을 파일로 다룸 - ls -l 명령어로 파일의 종류가 어떤 것인지 확인 가능 - 명령어 정리 1. ls, pwd, mkdir, cd, mv 2. cat, more, cp, rm, head, tail 3. grep, find - 심볼릭 링크 1. 하드링크 : ln 파일1 파일2 2. 심볼릭링크 : ln -s 파일1 파일2 - 텍스트 파일과 바이너리 파일은 모두 일반파일 텍스트 파일은 사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문자로 구성돼 있고, 이미지 파일이나 실행파일은 바이너리로 저장 돼 있어서 사용자가 읽을 수 없는 형태로 돼 있다. - 소켓 파일은 네트워크의 입..
1. 도커 버전 확인 docker --version 2. 도커 우분투 이미지 확인하기 docker search ubuntu 3. 현재 도커에 설치된 이미지 확인하기 docker images 4. 현재 도커에 실행중인 컨테이너 확인하기 docker ps 5. 현재 도커의 모든 컨테이너 확인 docker ps -a 6. 우분투 이미지 다운로드 (18.04버전) docker pull ubuntu:18.04 7. 현재 도커에 설치된 이미지 확인 docker images 8. 현재 도커에 설치된 우분투 이미지를 컨테이너로 만들기 docker run -it --name ubuntu_test ubuntu:18.04 /bin/bash 9. 현재 운영체제 확인하기 uname -a 10. 컨테이너에서 빠져나오기 exit ..
1. 운영체제 종류 - 리눅스, 윈도우, 맥, 유닉스 2. 리눅스의 종류 - 레드헷, 데비안, 우분투 - 레드헷 계열은 yum을 사용하고, 데비안 및 우분투 계열은 apt-get 또는 apt 를 사용 3. apt와 apt-get의 차이 - apt install 또는 apt-get install 사용시 내부적으로 차이는 없음 - apt install 로 설치할 때에는 유익한 메세지를 출력받을 수 있고, apt-get install 로 설치할 때에는 조금 더 많은 옵션을 설치 가능 (apt 보다 오래됨) 4. 패키지 관리 : apt (advanced packaging tool) - apt-get /etc/apt/source.list : 인덱스 위치의 패키지 정보 - apt-get update : 인덱스 정보..
1. / - 최상위 디렉토리 2. /bin - 명령어가 저장돼 있는 디렉토리 3. /boot - 부팅에 관련된 파일이 저장돼 있는 디렉토리 4. /dev - 디바이스 관련 파일이 저장돼 있는 디렉토리 5. /root - root 계정의 홈 데렉토리 6. /etc - 시스템 환경설정 관련 파일이 저장돼 있는 디렉토리 7. /mnt - 일시적인 파일들을 사용자가 저장해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8. /var - 시스템의 동적인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9. /proc - 메모리에 존재하는 작업들이 파일로 있는 디렉토리 10. /usr - 일반 계정의 프로그램 라이브러리들이 저장돼 있는 디렉토리 11. /lib - 커널 관련 파일과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관련 파일이 저장돼 있는 디렉토리 12. /opt - 응용 프..
1. 운영체제의 종류 (1). 윈도우 - 윈도우 계열 (2). 리눅스 - 유닉스 계열 (3). MAC OS - 유닉스 계열 (4). 유닉스 - 유닉스 계열 2. 운영체제 란? - 컴퓨터의 시스템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의 모음 3. 운영체제의 구조상 위치 (1). 하드웨어 (2). 운영체제 (3). 유틸리티 (4). 응용프로그램 (5). 사용자 4. 운영체제의 목적 (1). 시스템 처리 능력 (2). 사용자 요청 처리 시간 (3).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 (4). 처리의 신뢰성 5. 커널의 구조 (1). 어플리케이션 (응용프로그램) (2). 커널 (3). 하드웨어 (CPU, Memory, etc ..) 6. 커널이란 - 응용프로..
1. 카프카 설치 위치로 이동 cd /opt/kafka 2. 주키퍼 실행상태 확인 service zookeeper status 3. 카프카 실행상태 확인 service kafka status 4. result라는 이름을 가진 토픽 생성 ./bin/kafka-topics.sh --create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topic result 5. 전체 토픽 조회 ./bin/kafka-topics.sh --list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6. result 토픽 상세조회 ./bin/kafka-topics.sh --describe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topic result 7. 토픽에 프로듀서..
1. 카프카 설치 경로로 이동 cd /opt/kafka 2. 주키퍼 실행 상태 확인 service zookeeper status 3. 카프카 실행 상태 확인 service kafka status 4. 카프카 토픽 전체 확인 ./bin/kafka-topics.sh --list --zookeeper localhost:2181 5. test 라는 이름을 가진 토픽 만들기 ./bin/kafka-topics.sh --create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topic test 6. 전체 토픽 조회하기 ./bin/kafka-topics.sh --list --zookeeper localhost:2181 7. 토픽 상세보기 ./bin/kafka-topics.sh --describe ..
1. 주키퍼 실행 확인 service zookeeper status 2. 카프카 실행 상태 확인 service kafka status 3. 카프카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기 cd /opt cd kafka 4. 전체 토픽 확인하기 ./bin/kafka-topics.sh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list 5. test 이름을 가진 토픽 만들기 ./bin/kafka-topics.sh --create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replication-factor 1 --partitions 1 --topic test 6. 토픽 전체 조회하기 ./bin/kafka-topics.sh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