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엔지니어

Programming Language/Python

[Python] TypeError: __init__() missing 1 required positional argument

에러 없는 코드 class PropertyClass: def __init__(self, name): self.name = name my_test = PropertyClass(name = None) print(my_test.name, type(my_test.name)) 에러발생 코드 class PropertyClass: def __init__(self, name): self.name = name my_test = PropertyClass() root@docker-desktop:/code# python test.py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test.py", line 6, in my_test = PropertyClass() TypeError: __init__(..

Programming Language/Python

[Python] 클래스로 객체 선언 이후 값 재선언 하는 방법

class PropertyClass: def __init__(self): self.name = None my_test = PropertyClass() print(my_test.name, type(my_test.name)) my_test.name = 'my_name_1' print(my_test.name, type(my_test.name)) class PropertyClass: def __init__(self): name = None self.name = name my_test = PropertyClass() print(my_test.name, type(my_test.name)) my_test.name = 'my_name_1' print(my_test.name, type(my_test.name)) clas..

Programming Language/Python

[Python] if else를 한 줄로 사용하는 방법 (with 리스트)

my_list_1 = [1, 2, 3, 4, 5, 6, 7, 8, 9, 10] my_list_2 = list(range(0, 10)) print('my_list_1 =', my_list_1) print('my_list_2 =', my_list_2) print('my_list_1 와 my_list_2 는 같다.') if my_list_1 == my_list_2 else print('my_list_1 와 my_list_2 는 다르다.') my_list_1 = [1, 2, 3, 4, 5, 6, 7, 8, 9, 10] my_list_2 = list(range(1, 11)) print('my_list_1 =', my_list_1) print('my_list_2 =', my_list_2) print('my_list..

Programming Language/Python

[Python] 리스트 두개가 같은지 확인하는 방법

my_list_1 = [1, 2, 3, 4, 5, 6, 7, 8, 9, 10] my_list_2 = list(range(0, 10)) print('my_list_1 =', my_list_1) print('my_list_2 =', my_list_2) if my_list_1 == my_list_2: print('my_list_1 와 my_list_2 는 같다.') else: print('my_list_1 와 my_list_2 는 다르다.') my_list_1 = [1, 2, 3, 4, 5, 6, 7, 8, 9, 10] my_list_2 = list(range(1, 11)) print('my_list_1 =', my_list_1) print('my_list_2 =', my_list_2) if my_list_1..

Operating System/Network

ip, domain, name server 란

ip 인터넷이 연결돼 있는 모든 장치는 ip를 갖는다. domain (도메인) ip에 이름을 부여한 것이다. ip와 도메인은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예를 들어, naver.com = 223.130.195.200 (22/09/12 기준)이다. name server (네임서버) 사용자가 도메인을 요청하면 네임서버는 해당 도메인이 갖는 ip를 리턴하고, 그 리턴된 ip로 연결된다. 도메인과 URL 도메인은 서버 식별 단위 URL은 해당 서버의 웹페이지별 식별 단위

Data Engineering/AI

[ML]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 이란?

경사하강법이란? - 경사하강법은 머신러닝, 딥러닝에서 알고리즘을 훈련시킬 때 많이 사용됨 선형회귀란? - 선형적으로 분포된 데이터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일차함수를 찾는 것 - 최적의 기울기와 y절편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경사하강법 경사하강법 의미? - 함수 값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독립 변수의 값을 변경시켜 최종적으로 최소 함수를 갖도록 하는 독립변수의 값을 찾는 방법 경사하강법 목적? - 함수의 최소값을 찾는 문제 경사하강법 사용하는 이유? - 함수의 미분계수가 0인 지점을 최대값 또는 최소값으로 확인하면 되지만, 머신러닝, 딥러닝에서의 함수는 굉장히 복잡해 근을 계산하기 어려움 경사하강법 순서 - 각 데이터 사이의 평균제곱오차(MSE) 를 구함 - 이 평균제곱오차를 비용함수라고 한다 - 비용..

Data Engineering/AI

[AI, ML, DL] 선형함수, 비선형함수란?

선형함수 - 그래프가 직선의 형태 비선형함수 - 그래프가 직선의 형태가 아닌 것

Data Engineering/AI

[AI, ML, DL] 단층 퍼셉트론이 동작하는 방식

입력 데이터A > 뉴런A 입력 데이터B > 뉴런A 뉴런 = (입력데이터A * 가중치A) + (입력데이터B * 가중치B) + 편향 -> 활성화함수 -> 활성/비활성 1. 뉴런에 들어온 여러 입력데이터의 가중합을 구함 2. 그 가중합을 활성화 함수의 임계치와 비교 3. 임계치보다 크면 그 뉴런은 활성화, 임계치보다 작으면 그 뉴런은 비활성화

Data Engineering/AI

[AI, ML, DL] 계단함수란?

h(x) = 0 (x 0) 값이 0 이하면 0을 출력하고, 값이 0 초과하면 1을 출력한다.

Data Engineering/AI

[AI, ML, DL] 인공지능 활성화 함수란?

활성화 함수 (Activation Function) - 입력 신호의 합을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함수 - 입력 받은 신호를 얼마나 출력할지 결정 - 비선형함수 (Nonlinear Function) - 입력 신호의 총합이 활성화를 일으키는지 정하는 역할 활성화 함수 종류 - 계단 함수 (Step Function) - 시그모이드 함수 (Sigmoid Function) - 하이퍼볼릭탄젠트 함수 (Hyperbolic Tangent Function) - 렐루 함수 (ReLU) - 리키 렐루 함수 (Leaky ReLU) - 소프트맥스 함수 (Softmax Function) 뉴런A > 뉴런B - 뉴런A 에서 뉴런B 로 신호를 전달할 때, 임계점을 경계로 출력값에 큰 변화를 줌 입력 데이터 > 활성화 함수 > 출력 데이터

박경태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1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