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ckTime=3000
주키퍼가 사용하는 시간의 기본 측정 단위 (ms, 밀리초)
3000이면 3초로 해석됨
initLimit=10
주키퍼 클러스터 구성했을 때,
팔로워가 리더와 초기에 연결을 시도할 때 갖는 tick의 수
tick 제한 횟수를 넘으면 timeout이 발생하고,
여기에서 initLimit=10 으로 구성하면 30초로 설정하는 의미
syncLimit=3
주키퍼 클러스터 구성했을 때,
팔로워가 리더가 연결하고 나서
팔로워와 리더가 동기화 하는 시간에 대한 타임아웃 tick 수
(주키퍼에 저장된 데이터가 많으면 높아야 함)
여기에서 syncLimit=3 으로 구성하면 9초로 설정됨
dataDir=/home/zookeeper
주키퍼의 스냅샷, 트랜잭션 로그, 상태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디렉토리 위치
clientPort
주키퍼가 사용하는 TCP 포트
server.1=zoo1:2888:3888
server.2=zoo2:2888:3888
server.3=zoo3:2888:3888
주키퍼 클러스터 구성을 위한 서버 설정
2888 : 서버 노드끼리 통신을 위해 사용
3888 : 리더 선출을 위해 사용
각 머신 또는 컨테이너에 다음과 같은 파일이 필요하다
(/home 에 zookeeper를 설치했다고 가정한다)
zoo1 컨테이너 또는 머신
echo 1 > /home/zookeeper/data/myid
zoo2 컨테이너 또는 머신
echo 2 > /home/zookeeper/data/myid
zoo3 컨테이너 또는 머신
echo 3 > /home/zookeeper/data/myid
'Data Engineering > Spa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doop] 하둡 core-site.xml 설정파일 확인하기 (0) | 2022.03.25 |
---|---|
[Spark] 스파크 실행시 설정값 우선순위 (0) | 2022.03.25 |
[Spark] Spark on Yarn Cluster 어플리케이션 실행 전후 각 서버별 jps 상태 확인하기 (0) | 2022.03.20 |
[Spark] Spark on Yarn Cluster 실행시 각 컨테이너별 jps 상태 확인하기 (0) | 2022.03.20 |
[Spark] 로컬에서 제플린 테스트시 사용하는 dockerfile (0) | 2022.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