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구조 /docker/apache_ubuntu/Dockerfile /docker/apache_ubuntu/entrypoint.sh /docker/docker-compose.yml /docker/apache_ubuntu/Dockerfile FROM ubuntu:18.04 RUN apt update -y RUN apt install vim -y RUN apt install net-tools -y RUN apt install iputils-ping -y RUN apt install apache2 -y WORKDIR / COPY ./apache_ubuntu/entrypoint.sh / RUN chmod 755 /entrypoint.sh ENTRYPOINT ["./entrypoint.sh"] /docker/a..
파일 구조 /docker/nginx_ubuntu/Dockerfile /docker/nginx_ubuntu/entrypoint.sh /docker/docker-compose.yml /docker/nginx_ubuntu/Dockerfile FROM ubuntu:18.04 RUN apt update -y RUN apt install vim -y RUN apt install net-tools -y RUN apt install iputils-ping -y RUN apt install nginx -y WORKDIR / COPY ./nginx_ubuntu/entrypoint.sh / RUN chmod 755 /entrypoint.sh ENTRYPOINT ["./entrypoint.sh"] /docker/nginx_u..
로컬의 폴더와 버츄어박스의 폴더를 연동하고싶다. 버츄어박스를 켜서 설정을 클릭한다. 설정에서 공유폴더를 클릭한다 오른쪽 폴더 모양을 클릭한다 폴더 경로를 눌러서 기타를 누른다 내가 가상환경과 연동하고싶은 폴더를 클릭한다 자동마운트를 체크하고 가상환경의 어느 경로와 연동할 것인지 선택한다. 확인을 누르면 잘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따 다시 확인을 누르고 가상환경을 실행시킨다. 실행한 가상환경에서 터미널을 열고 내가 마운트시킨 위치로 이동한다 cd /root ls pwd 로컬의 폴더와 가상환경을 같이 열고 가상환경에서 touch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을 하나 만들어보자 touch test.txt 가상환경에서의 /root 디렉토리가 로컬의 shareFile 폴더와 공유폴더가 설정돼 연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
우분투에 분명히 파이썬이 설치돼 있는데, python 명령어는 먹지않고 python3 명령어만 사용된다. 작업위치 이동 cd ls pwd 기본 테스트 파일을 만든다 vi test.py 테스트 코드 작성 print("hello world") 파이썬 실행해본다 python 명령어는 먹지 않고 python3 명령어만 먹는다 python test.py python3 test.py python3의 위치를 찾고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which python3 cd /usr/bin /usr/bin 디렉토리에서 파이썬이름으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을 찾는다 ls | grep "python*" 심볼릭링크를 만들고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한다 ln -s python3.8 python ls | grep "python*" 다시 작업위..
보통 크론탭을 실행할 떄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 * * * * python3 /root/test.py 여기에서 /dev/null을 붙이는 경우가 있다. * * * * * python3 /root/test.py > /dev/null 2>&1 /dev/null = 쓰레기통 2 = 표준에러 > = 리다이렉트 &1 = 표준출력상태 해당 크론탭을 실행했을 때 표준에러가 발생하면 /dev/null(쓰레기통)에 출력해라. 에러내용을 보고 싶다면, /dev/null 위치에 /root/error.log 와 같은 파일명을 적어주면 된다.